부부상담치료(Couple Therapy) :
결혼 준비 예비자/결혼 초기/중년기/노년기 부부
부부 및 가족치료에 사용되는 주요 상담이론과 기법
체계이론systme theory(=맥락적 가족치료, 보웬(Bowen) 가족치료, 구조주의 가족치료, 경험주의 가족치료, 의사소통 이론 등):
-역기능적인 가족체계, 상호작용 유형, 행동 패턴, 의사소통 패턴… 등을 순환적 행동 양식으로 변환시키는 데 중점을 둔 기법
정신역동 이론(=대상 관계, 자기-심리학, 애착 이론, 이마고 관계Imago Relationship론, 등):
-가족 구성원 각자의 심리구조, 정서체계, 무의식적 태도, 내재화된 과거 기억과 경험, 내적 혼란과 갈등에 중점을 둔 기법
-부부 각자의 미해결된 원가족 문제(정신내적, 정서적, 관계적)와 심리적 잔재, 자아-분화도, 내재화된 부모상parental 등에 중점을 둔 치료기법
의사소통 이론:
-인간은 “항상 의사소통(언어적/비언어적)하는 존재로, 모든 행동은 의사소통이고, 또 인간은 행동하지 않을 수 없다.”는 전제하에 가족체계 내에서 구성원들의 비언어·
언어 표현방법, 피드백의 고리(loop of feed-back), 감정표현의 수준과 능력 등에 초점을 두어 가족 구성원 상호 간에 순환적 피드백 고리로의 전환에 중점을 둔 기법.
인지·행동주의 이론:
-자극과 반응의 고리, 모델링의 과정, 인지 과정(자동사고, 신념, 해석, 등) 등에 중점을 둔 기법
개인 및 가족의 심리발달주기 이론:
-개인 및 가족의 발달단계와 성장 과정에서의 개인, 가족이 어떠한 발달과정을 거쳤고, 거치고 있는지, 심리·정서적 흐름의 막힌 요인 파악과 다음 발달이행 단계로에 중점을 둔 기법
부부 상담 및 치료과정(treatment process)
부부 각자가 성장한 원가족으로부터 전수받은 여러 가지 상호작용 양식, 대인관계 역동(Interpersonal dynamics), 이마고 관계의 틀을 탐색하고 진단한 후, 부부 각자 안에 내재화된 '자기 개념self-concept, 이마고Imago 개념 재구성, 심리구조의 재구성, 역기능적 관계 역동을 새로운 상호작용양식으로 변환하여 새로운 부부관계, 부부체계(spouse system)를 구축해 나간다.
가족/부부심리상담의 주목표
가족 구성원 각자의 정신 내적 역동, 심리·정서 발달과정, 부부의 자아 분화 수준, 가족 구성원들 간에 반동적으로 행해지고 있는 역기능적 상호작용유형을 순환적 기능으로 변화 시키는 데에 목표를 둔다.
부부 상담은 부부 각자의 심리 내면의 상처와 심리적·정서적·발달적으로 미해결된 과제들을 치유하여 각자의 자아-분화도를 높인 후 건강한 부부의 상호작용 체계를 형성 하도록 한다. 그리하여 부부가 동등한 인격체로서 순기능 상호작용을 할 수 있는 능력을 키우는 데 목표를 두고 있다.